[제 2회] 41, uriel의 주장에 대한 반박
커뮤니티
아미나
0
개인연구
자유게시판
진학상담
줄리아
유머
개인연구
자유게시판
진학상담
줄리아
유머
메인
개인연구
자유게시판
진학상담
줄리아
유머
0
[제 2회] 41, uriel의 주장에 대한 반박
jryoungw
2
7666
0
0
2022.07.24 21:49
0
0
2
Comments
uriel
2022.07.25 12:06
답변
[41, uriel]에서 주장하는 것은 임의의 상상행렬 X, Y가 닮음 관계이므로, 적절한 가역행렬 S가 존재해서 Y=SXS^{-1}로 표현할 수 있고, 따라서 함수 f_X에 대해 상상행렬 Y는 가역행렬 S와 대응한다는 것입니다.
[41, uriel]에서 주장하는 것은 임의의 상상행렬 X, Y가 닮음 관계이므로, 적절한 가역행렬 S가 존재해서 Y=SXS^{-1}로 표현할 수 있고, 따라서 함수 f_X에 대해 상상행렬 Y는 가역행렬 S와 대응한다는 것입니다.
uriel
2022.07.25 12:09
답변
본문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임의의 상상행렬과 비상상행렬 사이의 닮음이 존재한다는 내용은 아닙니다.
오히려 이 경우엔 BAB^{-1}=X, X=A가 되므로 함수 f_A에 대해 가역행렬 B와 상상행렬 A가 대응한다고 보는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.
본문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임의의 상상행렬과 비상상행렬 사이의 닮음이 존재한다는 내용은 아닙니다. 오히려 이 경우엔 BAB^{-1}=X, X=A가 되므로 함수 f_A에 대해 가역행렬 B와 상상행렬 A가 대응한다고 보는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.
이전
다음
목록
답변
글쓰기
Login
Login
자동로그인
회원가입
|
정보찾기
소셜계정으로 로그인
네이버
로그인
카카오
로그인
구글
로그인
블로그로 이동
+
Posts
+2
08.24
안녕하세요, 진학 관련해 질문드립니다.
+2
07.19
제 4회 연구가 기다려질 따름입니다
+
Comments
전기현
09.13
우선 전역 축하합니다! 2. 좋은 선택입니다. 수학을 공부할 때, 특히나 응용수학을 공부할 때는 그 moti…
류대식
09.13
요즘은 커뮤니티가 잘 사용되지 않았다보니 글을 늦게 봤습니다. 미안합니다. 1. 1학년을 마치고 바로 입대했…
류대식
07.26
아마 최근 글이 단 하나라서 그런 것 같습니다 ㅠㅠ
nflight11
07.19
아니 세상에 이게 왜 Notice로 올라가나요... 부끄럽습니다.
반응형 구글광고 등
State
현재 접속자
3 명
오늘 방문자
365 명
어제 방문자
453 명
최대 방문자
3,289 명
전체 방문자
416,751 명
전체 게시물
0 개
전체 댓글수
0 개
전체 회원수
96 명